맨위로가기

유하 (영화 감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하는 대한민국의 영화 감독이자 시인이다. 상문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세종대학교 영어영문학과, 동국대학교 대학원에서 연극영화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1988년 《문예중앙》 신인상으로 등단하여 시집을 출간했으며, 1993년 영화 《바람부는 날이면 압구정동에 가야한다》로 영화 감독 데뷔 후 사회의 어두운 면과 인간의 욕망을 탐구하는 작품들을 연출했다. 주요 작품으로 《말죽거리 잔혹사》, 《비열한 거리》, 《쌍화점》 등이 있다. 1988년 문예중앙 신인상, 1996년 김수영 문학상, 2004년 백상예술대상 영화 시나리오상, 2006년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감독상 등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1세기 전망 동인 - 허수경 (시인)
    허수경은 삶의 고통과 상처 입은 사람들에 대한 연민을 전통적인 서정성으로 표현한 작품을 남긴 대한민국의 시인이자 소설가이며, 독일에서 고고학 박사 학위를 취득 후 고고학자와 결혼, 동서문학상을 수상했으나 위암으로 사망했다.
  • 김수영 문학상 수상자 - 김용택
    김용택은 섬진강을 배경으로 농촌의 삶과 자연을 소재로 한 서정시를 주로 발표한 대한민국의 시인이자 교육자이며, 농민의 일상과 현실 비판을 담은 초기 시와 직관적이고 감성적인 1990년대 이후의 서정시를 창작했고, 김수영문학상, 소월시문학상, 윤동주문학대상 등을 수상했으며, 교사와 영화배우로도 활동했다.
  • 김수영 문학상 수상자 - 나희덕
    나희덕은 1989년 등단하여 김수영문학상 등을 수상하고, 모성과 자연의 생명력을 주제로 작품 활동을 펼친 대한민국의 시인이다.
  •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시나리오상 수상자 - 이형표
  •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시나리오상 수상자 - 장현수 (1959년)
    장현수는 대한민국의 영화 감독으로, 1992년 《걸어서 하늘까지》로 감독 데뷔하여 액션 영화를 주로 연출했으며, 각본가로도 활동하며 여러 영화제에서 수상했다.
유하 (영화 감독)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본명김영준
출생일1963년 2월 9일
출생지고창군, 전라북도, 대한민국
국적대한민국
직업영화 감독
영화 각본가
시인
교수
활동 기간1988년 - 현재
종교알 수 없음
학력
학력동국대학교 학사
동국대학교 대학원 연극영화학 석사
세종대학교
기타 정보
소속사몬스터유니온
웹사이트알 수 없음
수상2006년 제26회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감독상

2. 학력

3. 작품 활동

유하 감독은 시와 영화라는 두 가지 예술 분야에서 활동하며 독자적인 작품 세계를 구축해왔다. 1988년 시인으로 먼저 등단하여 활동했으며, 1993년부터는 영화감독으로서도 꾸준히 작품을 발표하며 자신만의 연출 스타일을 선보였다. 그의 작품들은 종종 한국 사회의 단면과 인간의 복잡한 내면을 예리하게 포착한다는 평가를 받는다.

3. 1. 시

문예중앙 신인문학상을 통해 1988년 등단하였다. 등단 이후 여러 시집을 발표하며 꾸준히 활동했으며, 초기 시에서는 도시적인 감수성과 개인의 내면을 주로 다루었으나 점차 사회 현실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을 담은 작품들을 선보였다. 그의 시는 사회 비판 의식과 독특한 시적 언어가 특징으로 꼽힌다.

3. 1. 1. 시집 목록


  • ''떠나는 그대 눈부신 명상입니다'' (1990). 도서출판 나무.
  • ''바람 부는 날이면 압구정동에 가야 한다'' (1991). 문학과지성사.
  • ''안 이쁜 신부도 있나 뭐'' (1991). 세계사.
  • ''무림 일기'' (1994). 중앙M&B.
  • ''세운 상가 키드의 사랑'' (1995). 문학과지성사.
  • ''이소룡 세대에 바친다'' (1995). 문학동네.
  • ''나의 사랑은 나비처럼 가벼웠다'' (1999). 열림원.
  • ''천일 마화'' (2000). 문학과지성사.
  • ''세상의 모든 저녁'' (2007). 민음사.

3. 2. 영화

1993년 영화 《바람 부는 날이면 압구정동에 가야 한다》로 영화감독 활동을 시작했다. 이후 주로 사회의 어두운 면과 인간의 복잡한 욕망을 파고드는 작품들을 연출해왔다. 특히 폭력과 욕망이라는 코드를 활용하여 한국 사회의 부조리함을 드러내는 데 집중하며 자신만의 뚜렷한 작품 세계를 구축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3. 2. 1. 영화 목록

wikitext


3. 3. 기타 저서

4. 수상 경력

연도시상식부문
1988년문예중앙신인상
1996년제15회 김수영 문학상
2004년제40회 백상예술대상영화 시나리오상
2006년제26회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감독상


참조

[1] 서적 Encyclopedia of Korean Contemporary Literature http://terms.naver.c[...] Seoul University Press 2004-02-25
[2] 웹사이트 Yoo Ha http://people.search[...] 2014-04-13
[3] 웹사이트 Yoo Ha http://people.nate.c[...] 2012-03-06
[4] 뉴스 Yoo Ha http://hanimovie.cin[...] The Hankyoreh 2011-08-17
[5] 웹사이트 Yoo Ha http://www.cine21.co[...] 2006-10-12
[6] 웹사이트 Yoo Ha https://archive.toda[...]
[7] 웹사이트 A Dirty Carnival review http://koreanfilm.or[...] 2011-05-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